
공급망 리스크가 확대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전략적 국제협력 확대, 실효성 있는 정책금융 추진, 기업 보호 장치 마련 등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양국의 수출통제 범위의 국경 밖 확대로 우리 기업들이 수출 과정에서 공급망 리스크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가 작년 기준 수출실적 50만 달러 이상 수출제조기업 74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인 53.4%가 전년 대비 공급망 조달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이러한 공급망 위기에 대해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한 기업은 2.4%에 불과했으며, 절반 이상(51.8%)은 특별한 대책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추진 중인 주요 대응 전략으로는 ‘수급처 다변화 모색(64.7%/복수응답)’, ‘공급망 모니터링 강화(42.6%/복수응답)’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업들은 양국의 무역제재에 대한 애로로 ‘환율 변동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63.4%/복수응답)’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원자재/중간재 수급(42.4%/복수응답)’, ‘중국 수출통제에 따른 통관 지연(24.9%/복수응답)’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정책으로는 ‘정책금융 확대(60.0%/복수응답)’, ‘수급처 다변화 지원(42.3%)’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